티스토리 뷰

 

1. 아마존 콘솔에서  Instace 띄웁니다. 

2. 테스트를 위해 인스턴스 타입은 왠만하면 메모리 4G 정도 되는 타입을 권장합니다. (t2.medium)

3. 인스턴스가 준비완료되었으면, 접속을 해봅니다. 

4. 물론 pem -> ppk 로 변환하여 auth 정보에 등록도 해둡니다. 

 

5. 자 이테 터미널로 접속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6.  VOLTDB 사이트에서voltdb-ent-9.2.1.tar.gz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어 보록 하겠습니다. 

7. 해당 경로로 이동합니다. # cd voltdb-ent-9.2.1 

   안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 볼까요?

   눈여겨 보실부분이 bin 폴더에 실행할수 있는 파일들과 / 

   examples 파일들에 대해 몇가지 테스트 해보실수 있습니다.

 

8.  자 그럼 이제 필수로 필요한 부분들을 셋팅해보도록 할까요? 우선 필요 한것은 JAVA 와 파이썬 2.7 이상이 필수 요소 입니다. [자바는 별도로 yum 으로 설치 완료 합니다.]

9. 파이선도 설치 되어 있는지 python -v 실행해봅니다.  파이선은 설치가 되어 있네요~ ^^

 

 

10. vi /lib/systemd/system/rc-local.service 서비스에 등록도 해봅니다.

 

11.  vi /etc/sysctl.conf 등록 해봅니다.

 

 

12. .bashrc 에도 수정해봅니다.

 

* 참고로 .bashrc 셋팅 잘못해서 ls 혹은 vi 명령어가 안먹을 경우 path 를 아래와 같이 다시 셋팅 하시면 도움되실겁니다.

 

# PATH="$PATH:/usr/local/bin:/usr/bin:/bin" 
# export PATH

13. 자 이제 환경설정이 완료 되었으면 voltdb 실행체크해볼까요? 명령어는 bin 폴더로 가서 ./voltdb check 입력하시면

아래와 같이 stauts 환경에 pass 가 나오도록 확인 하시면 됩니다. 

warn 워닝 메세지는 최소 메모리가 4G 정도 필요 하고 / 가상메모리 체크 , ntp 체크 등이 눈에 띄네요... 

우선 싱글 테스트니까 우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14. 실제 VOLT DB START 실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# ./bin/voltdb start &

 

15. 프로세스 체크는 ps- ef | grep volt 해보시면 아래와 같이 실행 된 모습을 보실수 있습니다. 

16. 실행이 되었으면 web 화면에서도 정상적으로 분석되는지 확인해봐야 겠지요 !

주의 aws console SG 화면에서 inbound 8080 port 와 해당 MYIP 부분을 open 해야만 화면을 보실수 있습니다. 

 

17. 자 그럼 터미널에서 sqlplus 처럼 실행 명령어는 sqlcmd 라는 명령어로 접속해보실수 있습니다. 

약간 mysql 명령어와 거의 흡사 하네요 !!^^

 

 

18. 또다른 web화면 셋팅은 web_port : 8081 아래와 같이 환경설정 입력 합니다. 

 

19. 실행해보겠습니다. ./run.sh

20. 이번엔 Sample data 입력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경로는 cd examples/voter/ 가셔서 진행 하시면 됩니다.

 

21. 터미널에서 TEST DATA 입력되는 화면과 web 화면에 동시 확인되는 모습을 보실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댓글